겪고나니 다른사람은 안그랬음 좋겠어서 올림. ... CBAM(ㅋㅋ 한국인이 만든 모델이라 이름이 시밤임ㅋㅋ)을 적용해보려고 만져본 것까진 좋았는데 message: could not create a concat primitive descriptor, in file tensorflow/core/kernels/mkl_concat_op.cc 라며 에러가 난다. 이건 뭐 소스코드를 만져서 해결해야하는 게 아니라 GPU 할당문제라고 해서 나는 tensorflow를 다시 깔았다 설치했다가 고친 소스 넣었다 뺐다 했는데... github 페이지 젤 아래에 있는 방식이 해결해주더라 나는 conda+ pycharm+ python을 쓰고있어서 conda prompt를 열어서 conda update -n base -c def..
나를 위해서 정리해두는 것. 관련 논문을 찾을때 A가 주제라고 하면 A and content 혹은 A와 B를 같이 찾고있다면 a and B 이런 식으로 먼저 구글 검색에서 찾아보고,나오는 논문들을 쭉 훑은 다음에 잡지사를 확인해본다. 혹은 proceeding of iEEE에서 A주제로 찾아보는 방법이 있다. 그 외에도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관련 저널을 하나 찾으면, 그 저널 내에서 영감을 얻는 방법이 나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이러한 주제가 있는데 어떤 것을 하는 게 좋은지는 메일을 보내 확인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으하하하 인생... 난 왜 아무것도 못할까 ㅠㅠ
이 글은 논문의 내용을 그냥 한국어와 영어로 막 번역해서 제 식으로 정리해놓은 것 뿐입니다.앞부분만 정리함. 괴로워......... ------------------------------------------------------------------------ 1) 용어 Visual Attention modeling은 이전까지는 salient region detection 이라고도 쓰였는데, Attention과 Saliency, gaze가 상호적으로 쓰이는 경향이 있다. 논문에 의하면 Attention이 가장 큰 개념이고, Gaze는 실제생활속에서의 attention을 말하는 것이고 Saliency는 장면에서의 특징된 부분을 말하는 것이라 한다. 2) 관점 Attention을 보는 관점은 어느 분야인가..
카드 게임의 가챠 확률의 고찰(부제: distribution의 종류) ※ 이 포스팅을 읽기전에, 포스팅보다 더 잘 정리된 곳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저의 개인적인 자료정리 및 개인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입니다. --> 참고자료 오늘도 세미나를 하고 한껏 무가치한 기분을 느끼며 잔소리를 들을 ... ... 뻔! 했지만 안들었습니다 ㅜ..하지만 내적으로는 이미 울음 백만번 삼켜버렸고.. 침울한 기분을 애써 떨치고 왔더니 박사님께서 친절하게 확률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더라구요. 확률의 예시를 들어가면서.... 그런데, 카드 가챠 확률이 0.1%라고 적혀있는게 1000번해서 1번이 나오는 게 아니라는 충격적인 발언을 하시면서(!!) 더 알아보라고 하셨습니다. 한달 전, 러X 프XX서 게임의 가챠 확률에 배신..
ㅇ ㅏ 아아아... 나는 아무것도 못해... 흑흑...졸업못할거야... 나는... 무말랭이................ 박사는 진짜 안해야지............... - JND를 찾아보니까 약간 익숙한 것이 나왔다. 최소가지차(Just Noticeable Difference)랜다. 이것이 무엇이냐고 심리학적으로 설명하자면... 우리가 처음 자극을 똑같이 받는다고 해서 다음에도 같은 것에 반응하지는 않게 된다. 약간 무감각해지는 것과 비슷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JND는 이러한 것에서 최소한 5할의 사람이 차이를 느낄 정도의 최소한의 차이를 말한다. 그러니 JNDD는... 구별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최소한의 depth를 말하는 거겠지. 여기서 dI가 JND, I는 강도. 그리고 숫자 K는 상수(We..
우리 교수님은 내가 너무 모르는게 많아서 걱정이다.내가 AI도 잘하고 딥러닝도 잘해야하며 파이썬과 매트랩도 능통해야 우리 교수님 눈에 들텐데...^^....;항상 잠 시간을 아껴서 공부하라는 교수님에 말에 기함했다가... 이젠 그러려니 하고잇다아무리 그래도 점심 시간에 혼자 밥먹다 폰 겜하는 거 본거가지구 머라하는 건 진자 너무 힘들엇다 눈물뚝뚝흘렷음 넘 서러워서교수님... 나 졸업은 시켜주실까? ^....... . .. ... ..ㅁ. . . . .... .^.. . . ... .. .....? ------- 간단하게 푸리에란 '주기가 있는' 복잡한 파동을 단순한 파동으로 분해하여 공식으로 나타내는 것그 과정에서 이따시만큼 많은 수식이 들어가는데 그런건 모르겟음 ㅎㅎ (이미지출처: http://pink..
최근 영상처리(나 영상처리 왜하지!?!?!?!?!??!)에서 spatial frequency관련하여 보고있는 중인데내 앞자리가 영상처리 박사님이고...오늘 논문 보여주면서 이런 논문인데 못하실 거예요 ㅋ 해서봣는데멍게소린지 하나두 모르겠던 것이다 ㅎㅎ ( Zhou Wang과 A.C. Bovik의 Embedded foveation image coding.출처는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951527/ 요기...) 이거는 때가 되면 코딩한거 그냥 준다고 하시는데 너무 눈물이 낫따...심리학과 다니면서 요기는 cone이고 요기는 rod예요^^ 그리고 우리 눈에는 맹점이 있어요 정도 배우기는 했지만수식으로 표현했을 때 이렇게 어려운 것일 줄은 몰랐기 때문에..
이미지가 복잡하다의 기준을 세우기 위해서는, 납득할만한 정량화가 필요하다.여러가지 정량화의 방법을 찾고 있는데 그 이전에 용어정리 먼저 하고 넘어가야할 것 같다.나는 처음에 Scene complexity를 찾고있었으며, 그렇게 모인 complexity에는 네 가지 정도의 분류가 있었는데...Scene complexity, Image complexity:,Visual complexity, Radiosity complexity 였다. 여기에서 확실히 제하여야 할 단어는 저 4번째 단어로, 3차원 공간을 구성할 때 휘도의 계산 복잡도를 의미한다. 저 세 개의 단어는 비슷비슷해보이는데 교수님께서는 다르니 다 각각을 구분해오라는 과제를 남기셨다... (영알못이 웁니다) 1) Scene complexity2) Ra..